전세가율 확인법부터 지역별 위험지도까지 총정리!
요즘 뉴스에서 자주 나오는 ‘깡통전세’, 남 일 같지 않으시죠?
전세금을 돌려받지 못하는 전세 사기로 이어질 수 있어, 입주 전 꼭 확인해야 할 항목들이 있습니다.
오늘은 깡통전세 위험을 사전에 걸러내는 실질적인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실거래가 비교 방법부터, 전세가율 계산, 실제 사례, 지역별 위험지도 링크까지 한 번에 정리했습니다.
🔎 깡통전세란?
깡통전세란 매매가보다 전세금이 지나치게 높은 집을 말합니다.
즉, 집을 팔아도 세입자 전세금을 못 돌려주는 구조인 거죠.
이런 집에 세 들어갔다가 집주인이 파산하거나 잠적하면, 전세금 돌려받기 어렵습니다.
📊 전세가율이 핵심입니다
전세가율 계산법은 아주 간단해요.
전세가율 = (전세금 ÷ 매매가) × 100
예를 들어,
- 매매가: 2억 원
- 전세금: 1억 9천만 원
→ 전세가율 = (1.9억 ÷ 2억) × 100 = 95%
✅ 전세가율이 90% 이상이면 매우 위험합니다.
🛠 실거래가로 확인하는 방법 (쉽고 정확하게)
1.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시스템 접속
국토교통부 실거래가공개시스템
새로운 소식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의 새로운 소식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보도자료 공지사항 FAQ
rt.molit.go.kr
2. 아파트명 또는 주소 검색
- 관심 있는 단지/오피스텔의 매매가와 전세가 실거래 내역 확인
매매 | 전세 |
![]() |
![]() |
3. 비슷한 조건끼리 비교
- 층수, 평형, 연식 등이 비슷한 사례 비교
- 전세가율 계산해서 90% 이상이면 주의!
⚠ 깡통전세 위험 실제 사례
📍 인천 부평구 A오피스텔
- 매매 실거래가: 1억 5000만 원
- 전세금: 1억 4500만 원
- 전세가율: 97%
이런 집은 전세보증보험도 안 들어주는 경우가 많고,
등기부등본 확인 시 근저당 설정도 많거나 다주택자인 경우가 많습니다.
→ 이런 집은 절대 피해야 해요!
🗺 지역별 깡통전세 위험지도 보는 법
전국의 깡통전세 위험 지역을 한눈에 보여주는
외부 분석지도도 꼭 활용해보세요.
깡통전세 간편검색
전세계약 앞두고 깡통전세 걱정되세요? 랜드바이저에서 검색해보세요.
www.leasecheck.info

✅ 깡통전세 피하는 꿀팁
✔ 전세가율 80% 이하 매물 선택
✔ 전세보증금 반환보증보험 가입 가능한지 확인
✔ 등기부등본 열람 – 근저당, 전세권 설정 여부 체크
✔ 집주인 명의/다주택 여부 확인
✔ 신축 오피스텔은 특히 조심 (허위 시세로 위험)
📌 마무리 TIP
전세 들어가기 전,
👉 실거래가 비교
👉 전세가율 계산
👉 등기부등본 확인
👉 보증보험 가입 여부 확인
이 4가지만 꼭 챙기면, 깡통전세 사기에서 90%는 예방할 수 있습니다!
🔎 관련 블로그
🧠 전세 계약 후에도 꼭! 확인해야 할 3가지
“계약했다고 끝? 진짜 위험한 건 그다음부터입니다”전세 계약, 딱 사인하고 나면"이제 끝났다~" 하고 안심하게 되죠?그런데 요즘 전세 사기는 계약 ‘후’에도 시작됩니다.집주인이 바뀌거나
make2t.tistory.com
🏘️ 신축 빌라 전세 사기, 왜 이렇게 위험할까?
“집은 새 건데, 보증금은 못 돌려받았습니다…”“집이 신축이고 깔끔한데 이 가격이면 완전 괜찮은 거 아닌가요?”“방금 준공된 새 건물이라 그런지 진짜 싸게 나온 것 같아요!”👉 이런 말
make2t.tistory.com
🧠 전세 계약할 때 반드시 물어봐야 할 질문 10가지
집주인·공인중개사에게 꼭 체크하세요! 안 물어보면 손해예요전세 계약, 생각보다 물어봐야 할 게 진짜 많아요.“계약서에 다 써있겠지~”라고 넘어가면, 나중에 뒤통수 맞는 일 많습니다.특
make2t.tistory.com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전세계약서 항목별 해설서 – 초보자를 위한 진짜 쉬운 설명 (1) | 2025.04.14 |
---|---|
전세 계약할 때 등기부등본 보는 법 완전 정리 🧾 (1) | 2025.04.13 |
🧠 전세 계약 후에도 꼭! 확인해야 할 3가지 (0) | 2025.04.13 |
🏘️ 신축 빌라 전세 사기, 왜 이렇게 위험할까? (0) | 2025.04.13 |
🧠 전세 계약할 때 반드시 물어봐야 할 질문 10가지 (0) | 2025.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