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IT

(419)
JEUS HTTP Header 로그 보기 1. JEUS 액세스 로그 설정JEUS는 기본적으로 액세스 로그를 통해 클라이언트의 요청 정보를 기록합니다. 이 로그는 일반적으로 다음 경로에 저장됩니다: $JEUS_HOME/logs//_/servlet/accesslog/access.log 그러나 기본 설정으로는 HTTP 헤더 정보가 포함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를 포함하려면 로그 포맷을 수정해야 합니다.2. 로그 포맷 수정 방법JEUS의 로그 포맷은 http.m 설정 파일에서 정의됩니다. 이 파일은 일반적으로 다음 경로에 위치합니다 $WEBTOBDIR/config/http.m http.m 파일의 LOGGI..
몽고DB 관련 추천 도서 1. MongoDB: The Definitive Guide(4th Edition) - Kristina Chodorow, Michael Dirolf특징: MongoDB의 공식 문서에 가까운 내용으로, MongoDB의 기본부터 고급 기능까지 폭넓게 다룹니다. 특히 실습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어, MongoDB의 활용을 쉽게 배울 수 있습니다.추천 이유: MongoDB의 데이터 모델링, 쿼리 작성, 성능 튜닝 등 실무에서 꼭 필요한 부분을 다루고 있음2. MongoDB in Action (2nd Edition) - Kyle Banker특징: MongoDB의 사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며, 실제 예제를 통해 학습할 수 있는 책입니다. 초보자도 쉽게 따라할 수 있는 내용이 많습니다.추천 이유: MongoDB의 개념을 ..
포털 WAS 기동시 공통코드, 메뉴 정보를 메모리 로딩 장점 1. 성능 향상 (Response Time 단축)매번 DB에서 공통코드나 메뉴 정보를 조회하는 대신, 메모리에 저장된 값을 사용함으로써 I/O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음.DB 조회가 빈번한 경우, 응답 속도를 크게 단축할 수 있음.2. 데이터베이스 부하 감소같은 데이터를 반복적으로 조회하는 작업이 많으면, DB 부하가 증가할 수 있음.애플리케이션 기동 시 메모리에 로딩해두면, DB 호출 횟수를 줄여 전체 시스템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음.3. 가용성 향상DB 장애가 발생하거나 네트워크 문제로 인해 DB 접근이 어려운 경우에도, 이미 메모리에 로드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정상적인 서비스 제공이 가능함.특히 공통코드나 메뉴 정보는 자주 변경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 메모리 캐싱이 효과적임.4. 일관성 유지요청이 있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