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PTCHA(Completely Automated Public Turing test to tell Computers and Humans Apart)는 사용자가 사람인지 컴퓨터인지 구별하기 위해 설계된 보안 기술입니다.
이는 웹사이트에서 자동화된 봇의 접근을 차단하고, 비정상적인 사용을 방지하는 데 사용됩니다.
특징
1. 작동 원리
• 사람이 쉽게 해결할 수 있지만, 컴퓨터는 어려운 문제를 제시
• 텍스트, 이미지, 음성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됨
2. 유형
구분 | 내용 |
텍스트 CAPTCHA | 왜곡된 문자나 숫자를 입력 |
이미지 CAPTCHA | 특정 이미지를 선택하거나 분류 |
음성 CAPTCHA | 잡음 속 단어를 듣고 입력 |
행동 기반 CAPTCHA | 사용자의 행동 패턴 분석(reCAPTCHA) |
3. 보안성
• 스팸 계정 생성, DDoS 공격, 자동화된 데이터 크롤링 등을 방지
• OCR(광학 문자 인식) 기술을 이용한 공격에 대비해 지속적으로 발전
활용 사례
1. 계정 등록 및 로그인
• 스팸 계정 생성 방지(Gmail, 네이버 등)
2. 전자 상거래
• 봇의 대량 구매 차단 및 결제 보안 강화.
3. 온라인 설문조사
• 스팸 응답 제거 및 결과 왜곡 방지
4. 댓글 및 메시지 스팸 방지
• 블로그와 웹 페이지에서 악성 메시지 차단
5. 장점과 한계
• 장점
• 간단한 구현으로 높은 보안성 제공.
• 다양한 형태로 사용자 경험에 맞춤화 가능.
• 한계
• 사용자 불편 초래 가능
• AI 기술의 발전으로 CAPTCHA 우회 가능성이 증가
• CAPTCHA는 보안 솔루션으로 필수적이지만, AI와의 경쟁 속에서 지속적인 개선이 요구됩니다
CAPTCHA의 작동 원리
CAPTCHA는 인간과 컴퓨터를 구별하기 위해 설계된 테스트로,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작동합니다
1. 문제 생성
• CAPTCHA는 사람이 쉽게 해결할 수 있지만, 컴퓨터가 어려움을 겪는 문제를 생성합니다
• 예 : 왜곡된 문자, 이미지 분류, 퍼즐 등
2. 사용자 입력
• 사용자는 제시된 문제(예: 왜곡된 문자나 이미지)를 보고 정답을 입력합니다.
• 입력값은 시스템이 생성한 정답과 비교됩니다.
3. 검증 및 판단
• 입력값이 정답과 일치하면 사용자를 인간으로 간주하고, 그렇지 않으면 봇으로 판단합니다.
4. 행동 기반 분석 (최신 방식)
• 사용자의 마우스 움직임, 클릭 패턴 등 행동 데이터를 분석해 인간 여부를 판단합니다.
• 예: Google의 “No CAPTCHA reCAPTCHA”는 체크박스 클릭 시 마우스 움직임의 무작위성을 분석합니다.
5. 추가 확인
• 의심스러운 경우 추가 테스트(예: 이미지 선택 문제)를 요구하거나, 브라우저 쿠키와 기기 정보를 활용해 봇 여부를 재검토합니다.
관련 뉴스
[단독] 23만명 개인정보 유출된 워크넷, '캡챠(CAPTCHA)' 조차 없었다... 106억 보안예산 어디로? |
한국고용정보원이 운영하는 취업 정보 포털 ‘워크넷’이 5년간 약 106억 원의 보안 예산을 지출했음에도, 대규모 개인정보 유출 피해를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뉴스워커>의 취재 결과
www.newsworker.co.kr
'IT > 보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록체인 기술 관련 기업들의 활용 사례 (3) | 2025.02.23 |
---|---|
크로스 사이트 스크립트(XSS, Cross-Site Scripting) (2) | 2025.02.22 |
제로 트러스트 보안(Zero Trust Security) (1) | 2025.02.22 |
ISA/IEC 62443 (1) | 2025.02.22 |
CSRF(Cross-Site Request Forgery) (2) | 2025.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