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기타

제로 레이팅(Zero Rating)

반응형

제로레이팅(Zero Rating)은 특정 인터넷 서비스나 앱의 데이터 이용료를 면제해 주는 정책을 의미합니다. 사용자가 특정 콘텐츠나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할 때, 모바일 데이터 요금이 부과되지 않는 방식입니다.

제로레이팅의 특징

  • 특정 서비스에 한해 무료 데이터 제공
  • 이동통신사(ISP)와 콘텐츠 제공업체 간 협력 필요
  • 사용자는 데이터 요금 부담 없이 특정 콘텐츠 이용 가능

제로레이팅의 예시

1. SNS 및 메시징 서비스 무료 제공

  • 예: 페이스북, 왓츠앱, 인스타그램 등이 특정 국가에서 무료로 제공됨

2. 음악·영상 스트리밍 서비스 지원

  • 예: 특정 이동통신사가 넷플릭스, 유튜브, 스포티파이 등을 데이터 차감 없이 이용 가능하도록 지원

3. 공공 및 교육 서비스 제로레이팅

  • 예: 코로나19 기간 중 온라인 교육 플랫폼(예: e-러닝 사이트) 데이터 요금 면제

제로레이팅의 장점

  • 사용자의 데이터 비용 절감
  • 특정 콘텐츠 소비 증가 (예: 넷플릭스 제로레이팅 시, 사용자 증가)
  • 디지털 접근성 향상 (인터넷 환경이 열악한 지역에서도 일부 서비스 이용 가능)

제로레이팅의 논란과 단점

1. 망 중립성(Net Neutrality) 침해 우려

  • 특정 서비스만 무료로 제공하면 경쟁이 제한될 수 있음
  • 중소형 콘텐츠 제공업체에 불리할 가능성

2. 통신사 및 플랫폼 간 불공정 거래 가능성

  • 대기업 중심의 인터넷 시장 독점 가능

3. 사용자의 선택권 제한

  • 무료 서비스만 사용하게 되어 다양한 인터넷 경험이 어려워질 수 있음

제로레이팅의 글로벌 사례

1. 페이스북의 "Free Basics" 프로젝트

  • 개발도상국에서 페이스북과 몇몇 웹사이트를 무료로 제공했으나, 망 중립성 위반 논란으로 일부 국가(예: 인도)에서 금지됨

2. 넷플릭스 & 이동통신사 협업

  • 일부 국가에서는 특정 통신사에서 넷플릭스 이용 시 데이터 차감 없음

3.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교육 콘텐츠 무료 제공

  • 여러 정부 및 통신사가 온라인 수업 플랫폼 데이터 요금 면제 조치 시행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