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클라우드

민관협력형 클라우드 운영모델 (Public-Private Partnership Cloud Model)

반응형
  • 민관협력형 클라우드 운영모델은 공공기관과 민간 기업이 협력하여 클라우드 서비스를 운영하는 방식입니다.
  • 이는 공공 부문의 데이터 보안 및 안정성을 유지하면서도 민간의 기술력과 효율성을 활용하는 모델입니다.

운영모델 유형

민관협력형 클라우드는 다음과 같은 주요 운영모델로 구분됩니다.

① 공공주도형 (Public-led)

  • 공공기관이 클라우드 서비스의 주요 인프라를 직접 구축하고, 운영 및 유지보수를 민간에 위탁하는 방식
  • 예: 정부 데이터센터에서 운영하는 클라우드 환경 + 민간의 기술 지원
  • 장점: 보안 및 데이터 주권 강화, 정책 일관성 유지
  • 단점: 민간의 혁신적 기술 도입이 제한될 수 있음

② 민간주도형 (Private-led)

  • 민간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가 인프라를 운영하고, 공공기관이 이를 활용하는 모델
  • 예: AWS, Azure, Naver Cloud 등을 활용한 공공 클라우드 서비스
  • 장점: 최신 기술 및 높은 서비스 품질 유지 가능
  • 단점: 데이터 보안 및 주권 문제 발생 가능

③ 공동운영형 (Co-managed)

  • 공공과 민간이 협력하여 클라우드 인프라를 공동 구축 및 운영하는 방식
  • 예: 공공기관이 정책 및 보안 기준을 정하고, 민간이 기술을 제공하여 공동 운영
  • 장점: 공공과 민간의 장점을 조합하여 운영 효율성 향상
  • 단점: 운영 주체 간 조율이 필요하고 협력 모델 설계가 복잡할 수 있음

주요 특징

  1. 보안 및 규제 준수
    • 공공기관의 데이터 보호 및 국가 보안 정책을 반영하여 운영
    • 민간 클라우드 사업자의 보안 인증 및 규제 준수 필수
  2.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환경 활용
    • 일부 데이터는 공공기관이 자체 운영하고, 비민감 데이터는 민간 클라우드 활용
    • HDFS, MongoDB, Spark 등의 데이터 인프라를 혼합하여 운영 가능
  3. 비용 절감 및 효율성 향상
    • 민간의 기술 및 인프라를 활용하여 초기 구축 비용 절감
    • 필요에 따라 탄력적인 확장 가능 (온디맨드 서비스)
  4. 데이터 주권 및 거버넌스 고려
    • 주요 데이터를 국내 클라우드에서 운영하도록 정책 마련
    • 개인정보 보호 및 국가 데이터 보호 정책 준수 필요

국내 외 사례

① 대한민국 (K-클라우드)

  • 정부의 클라우드 정책인 ‘G-Cloud’ 를 기반으로 공공기관별 맞춤형 클라우드 인프라 구축
  • Naver Cloud, KT Cloud, NHN Cloud 등 국내 기업과 협력
  •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및 프라이빗 클라우드 모델 적용

② 미국 (FedRAMP)

  • 미국 정부의 클라우드 보안 인증 프로그램인 FedRAMP 운영
  • 공공기관이 AWS, Azure, Google Cloud 등의 민간 클라우드를 활용 가능하도록 승인

③ 유럽 (GAIA-X)

  • 유럽연합(EU)에서 추진하는 데이터 주권 중심 클라우드 프로젝트
  • 유럽 내에서 생성된 데이터는 유럽 내 클라우드에서 관리하도록 규정

민관협력형 클라우드 운영의 도입 절차

  1. 도입 타당성 검토 (공공기관 및 민간사업자 협의)
  2. 보안 및 규제 준수 요구사항 정의 (데이터 보호 및 접근제어 정책 수립)
  3. 운영 모델 선정 (공공주도형, 민간주도형, 공동운영형 중 선택)
  4. 기술 및 인프라 구축 (HDFS, MongoDB, Spark 등 활용 가능)
  5. 서비스 운영 및 모니터링 (클라우드 서비스 지속적 개선 및 최적화)
반응형